[천하제일국어대회] 2015학년도 수능 국어 B형 '칸트의 취미 판단 이론' 해설 1부
안녕하세요. 국어와 사탐 자료를 만드는 여러분의 깜찍한 스터디 메이트 인터넷 공부 친구입니다.
UR독존님이 개최하신 천하제일국어대회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부족한 글이지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류나 오타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
'근대 초기의 합리론은 이성에 의한 확실한 지식만을 중시하여 미적 감수성의 문재를 거의 논외로 하였다.'
-> 어? 근대 초기론의 합리론은 이성에 의한 확실한 지식만을 중시하였는데, 미적 감수성에 대한 문제는 거의 논외로 하였군요. 그렇다면 근대 초기의 합리론은 '미적 감수성'에 대한 문제의 답으로 '확실한 지식'은 결론 내지 못한다고 보는 것 같네요.
'미적 감수성은 이성과는 달리 어떤 원리도 없는 자의적인 것이어서 '세계의 신비를 푸는 데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 미적 감수성은 이성과 달리 어떤 원리도 없는 자의적인 것? '자의적인'이 무슨 의미일까요?
클로이 모네 <수련 연못>
가령, 모네의 그림을 본다고 합시다. 이 그림을 보고 어떤 사람은 '예쁘다.'라고 할 것이고, 어떤 사람은 '그저 그렇다.' 혹은 '별로다.'라고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미적 판단이 어떠한 근거를 가지고 했나요? 아니죠. '보색 관계의 색들이 7:3으로 쓰인 그림이 아름답다.'와 같은 기준으로 저 그림의 미적 판단을 하지 않았단 말입니다. 그냥 그림을 보고 단순하게 '예쁘다', '안 예쁘다.' 판단을 한거죠. 단순히 말하자면 그냥 지멋대로 한다는 말입니다.
이렇게 미적 판단은 일정한 기준 없이 '지멋대로' 하기 때문의 근대 초기의 합리론은 '세계의 신비'를 풀지 못한다고 했죠.(여기서 저는 이게 '확실한 지식'을 얻지 못한다와 같은 내용으로 봤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한 번 더 생각해서, 근대 초기의 합리론은 '세계의 신비'를 푸는 것을 학문적 목표로 두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근대 초기의 합리론에 맞서 칸트는 미적 감수성을 ‘미감적 판단력’이라 부르면서, 이 또한 어떤 원리에 의거하며 결코 이성에 못지않은 위상과 가치를 지닌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러한 작업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것이 그의 취미 판단 이론이다.'
-> 음, 칸트는 우리가 어떠한 것을 보고 예쁘다, 안 예쁘다라고 하는 것을 '미감적 판단력'이라고 불렀군요. '미감적 판단력'이 어떠한 원리로 작동하여 이성에 못지않은 위상과 가치를 지니는지 파악해야겠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는 '취미 판단 이론'이라고 불리는 것 같군요.
다음 문단으로 넘어가기 전에 한 가지 더 생각을 하자면 칸트의 입장에서 '미감적 판단력'은 이성의 일부분이거나 이성의 작용은 아닙니다. 애초에 미적 감수성을 '미감적 판단력'이라고 부르는 것일뿐더러 미감적 판단력은 '이성에 못지않은 위상과 가치'를 지니니까요. 이성의 일부분인 동시에 이성에 못지않은 위상과 가치를 지니는 것은 논리학적으로 범주의 오류에 지나지않습니다.
'취미 판단이란, 대상의 미/추를 판정하는, 미감적 판단력의 행위이다.'
-> 개념을 설명해주네요. 취미 판단이란 어떠한 대상이 '아름답다(미)' 혹은 '추하다'를 판정하는 것인데, 이것은 미감적 판단력을 주체로 하는 것인가봅니다.
'모든 판단은 ‘S는 P이다.’라는 명제 형식으로 환원되는데, 그 가운데 이성이 개념을 통해 지식이나 도덕 준칙을 구성하는 ‘규정적 판단’에서는 술어 P가 보편적 개념에 따라 객관적 성질로서 주어 S에 부여된다.'
-> 모든 판단은 'S는 P이다.'라는 명제 형식으로 환원된답니다. 그렇다면 취미 판단도 마찬가지겠군요. 어 그런데 그중에서도 '규정적 판단'은 이성이 개념을 통해 지식이나 도덕 준칙을 구성하는데, 이때 술어 P에는 보편적 개념에 따라 객관적 성질이 주어 S에 부여된답니다.
가령 고양이에 대해 판단한다고 합시다. 대표적인 판단으로는 '고양이(S)는 동물이다(P).'가 있죠.
'규정적 판단'에 의하면 P, 즉 '동물이다.'는 보편적 개념에 따라 S에 부여된 객관적 성질입니다.
조금 더 풀어서 말하자면 '식물, 미생물, 무생물을 제외하고 인간이 아닌 생명체는 동물이다.'라는 지식을 통해 고양이에게 '동물'이라는 객관적 성질을 부여한 것이죠. 이때 이것은 굉장히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거라서 모오오오오든 사람에게 '식물, 미생물, 무생물을 제외하고 인간이 아닌 생명체는 동물입니까?' 혹은 '고양이는 동물입니까?'를 물어보면 모든 사람이 YES!(백호 아님)라고 답할 것이라는 거죠. 모든 사람이 그렇게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이와 유사하게 취미 판단에서도 P, 즉 ‘미’ 또는 ‘추’가 마치 객관적 성질인 것처럼 S에 부여된다. 하지만 실제로 취미 판단에서의 P는 오로지 판단 주체의 쾌 또는 불쾌 라는 주관적 감정에 의거한다.'
-> 취미 판단에서도 S에게 '미' 또는 '추'가 객관적 성질인 것처럼 부여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취미 판단은 '개념 혹은 보편적 지식'에 의거하지 않고 판단 주체, 간단히 말해 '나'의 감정을 기반으로 한다고 하네요.
예를 들어 김태희씨에 대한 취미 판단을 한다면 '김태희는 이쁘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감태희는 이쁘다.'라는 판단은 '눈과 코의 비율이 전체 얼굴의 15%만을 차지해야 이쁘다.'와 같은 지식이 아니라 단지 내가 김태희씨의 얼굴을 보고 '쾌'의 감정을 느꼈기 때문에 '김태희는 이쁘다.'라고 취미 판단을 하는 것입니다.
이때 P인 '예쁘다.'는 객관적인 성질은 아닙니다. 모두가 그렇게 생각하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이죠.
'또한 규정적 판단은 명제의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타당성을 지향하므로 하나의 개별 대상뿐 아니라 여러 대상이나 모든 대상을 묶은 하나의 단위에 대해서도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취미 판단은 오로지 하나의 개별 대상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즉 복수의 대상을 한 부류로 묶어 말하는 것은 이미 개념적 일반화가 되기 때문에 취미 판단이 될 수 없는 것이다.'
-> 규정적 판단은 객관성과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나의 단위'에 대해서도 이루어진답니다.
예를 들어 '물과 소금의 비율이 7:3인 소금물은 짜다.'라는 참인 명제가 있을 때 이를 하나의 단위로 이어서 '물과 소금의 비율이 7:3인 소금물 70L는 짜다.'라고 할 수 있겠죠. 그래야 객관적이고 타당하니까요.
그러나, 취미 판단은 규범적 판단과 달리 개별 대상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규범적 판단과는 다른 부분이죠.
가령 '유재석은 못생겼다.'라고 취미 판단을 할 때 이를 '남자 개그맨은 못생겼다.'라고 할 수 없다는 겁니다. '남자 개그맨은 못생겼다.'라고 하려면 이를 '개념적 일반화'해야하는데 이를 뒷받침하는 지식도, 개념도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어떠한 단위에 대해 말할 수 있다면 이는 이미 그 단위를 뒷받침 하는 지식과 개념이 선재한다라고 할 수도 있겠네요.
'한편 취미 판단은 오로지 대상의 형식적 국면을 관조하여 그것이 일으키는 감정에 따라 미/추를 판정하는 것 이외의 어떤 다른 목적도 배제하는 순수한 태도, 즉 미감적 태도를 전제로 한다. 취미 판단에는 대상에 대한 지식 뿐 아니라, 실용적 유익성, 교훈적 내용 등 일체의 다른 맥락이 끼어들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 취미 판단은 그 대상의 다른 모든 것은 배제하고 그 대상의 '형식'만을 본 뒤 관찰자가 느낀 감정에 따라 미/추를 판단한다는 겁니다.
즉, 우리가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를 볼 떄 '단순히 저 그림의 형식이 나에게 쾌를 불러이르켜서'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는 아름답다.'라고 판단하는 거지, '저 그림을 팔면 돈이 되겠군.'해서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칸트는 엄격하게, 대상에 대한 지식, 유용성, 교훈적 내용 모두 고려하지 않아야 한다고 하는군요.
일단 글을 쓰다보니 노트북이 힘들어해서 1부는 여기서 마무리하고
2부에 이어 적겠습니다.
유익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자료 혹은 칼럼 글만 올립니다!
팔로우 하시고 좋은 글 보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톰의 Docs지식 거래소에 있는 랑데뷰TacTioc-N축 링크 주소입니다....
-
현역정시국민대 3
일반인 기준 냉정하게 잘간건가?
-
어떤게 더 욕임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상반기에 리트 푸는 거는 ㅂㄹ임?? 당연히 기출은 공부한 적 있다고 가정했을 때 걍...
-
선착순 한명 천만덕 12
같은 천덕(한국말은 꿋까지)
-
쉽지가않네
-
지문에 (대충 어떤 주장이나 가설) 그러나 이는 다양한 비판에 직면한다. 대표적으로...
-
️ 연세대학교 중앙새내기맞이단에서 25학번 아기독수리들을 환영합니다 ⭐️ 0
⭐️ 연세대학교 25학번 아기독수리들 주목 ⭐️ 안녕하세요! 연세대학교...
-
에타에서도 난리인거죠 삼성이랑 연줄 있는 학과들이면 몰라 그런거 없이 물으면 어쩌자는
-
우웅
-
실제로 이런 일도 가능 하지 않으 ㄹ ㄲ ㅏ?? 진짜 ㄹ ㅜ
-
헤헷... 6
가끔씩 내가 너무 공부못하는 것 같다고 느껴서ㅜ우울해졌을때 오르비들어오면 기분이조아짐ㅋㅋ
-
하프모? 제외하고 한권에 2x16=32지문 맞나요? +매일 문/독 1지문씩 고정인가유
-
러셀 대치 원서랑 러셀 기숙학원 원서랑 중복으로 지원 못 하나요? § 중복접수 확인...
-
[칼럼] 2025 수능 응시자가 2월에 해야할 일 14
안녕하세요! 설 연휴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올해의 첫 장이 벌써 끝나고 다음...
-
문학 사라져야댐 15
리트화해야햄
-
?
-
오고곡오고고고곡 0
크리스피 오곡롤~
-
중경외시 라인 문과 정시 일반 예비 1번인데 원래는 당연히 붙겠지 싶었습니다 그런데...
-
예쁘다...
-
1지망 2지망 이렇게 점공에 작성해놓은 대로 보통 최종등록하나요?
-
과외쌤 목소리로 5
실수해서 아아앙이러는데 너무 좋은데 고백하면 안되나요?
-
미3누 멋있네 3
와
-
경계선 지능은 아닌거지?
-
이건 연의생만 쓸수있는데 주제넘게한번써봄
-
기분진짜이상함 내친구가 엄마아빠가된다라
-
장성문T 0
개념문 노베한테 부족한가요? 김준T는 볼륨이 너무 커서요… (화학 학원 하나 다니고 있습니다)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한양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한양대학생, 한양대...
-
누구는 sky 미만잡이라 하고 누구는 메디컬 미만잡이라 하는데 현실에선 ㅁㅌㅊ인가요
-
전에 만나던사람이랑 좀 롱디였는데 너무 바빠서 거의 매번 내가 보러갔었음 그래서...
-
ㅇㅇ
-
걍 설탭이랑. 똑같이 시급2받고 해버려? ㅋㅋ
-
눈이 안온다 단점:눈이 안 온다
-
농어촌 의대 2
농어촌이고 정시로 연세대 의대 지망하는데 아무리 농어촌이어도 과탐+사탐 조합으로는 불가능하겠죠?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강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서강대생, 서대...
-
외고애들 수학때 싹 자던거 빼고는 좋았음 감독관님들도 이것저것 안따지고 거의 다...
-
국민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국민대25][기숙사, 자취방, 고시원]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국민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국민대학생, 국민대...
-
격자점 재밌음 4
격자점은 그래도 지수로그 성질 이용해서 내도 거부감은 없는데 삼도극,무등비는 솔직히...
-
딱 돈만 놓고 보면 꼭 그렇지도 않나... 예체능계 최정상들은 제외하고요 그쪽은 차피 못함
-
오르비 3
육르비
-
수학황 분들 질문할게요 14
이거 좀 풀어주실수있나요
-
배송을 바란다. 2
급해요
-
과외끝남요 4
헤헤
-
강의 듣다가 교재에 없는 거 칠판에 띄워지면 2511 2510 2509 2507...
-
수용가능한 선에서 한번정돈 더 나오지 않을가
-
근데 이분은 그냥 천재인듯... 영상미 미침 영상쪽 전공자는 아니래요
-
동국대 조발 0
ㅈㅈ하게 오늘 뜨냐 오늘 아니면 의미가업음
-
덕코 주세요 6
감사합니다
감삼다..쓰느라 힘들었어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