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17 [566397] · MS 2015 · 쪽지

2016-06-06 10:47:14
조회수 570

사회문화 도표 질문합니다.(방긋)

게시글 주소: https://oldclass.orbi.kr/0008539493



별표 친 선지 3번과 5번을 모르겠습니다.
두 번째 사진은 제가 그린 도표이구요,
3번과 5번 이유와 함께 해설 부탁드리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__^(꾸벅^~)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노 · 665584 · 16/06/06 11:12 · MS 2016

    3. 계층 구성비가 변화했으니 폐쇄적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5, B국에서 하강이동의 최댓값은 상층에서 중층으로 10%, 중층에서 하층으로 25% (2010년 하층의 비율이 25%이므로) 총 35%뿐입니다. 하강이동의 최댓값인 35%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하층의 60%가 상승이동 하구요.. 하강이동의 최댓값은 35%뿐이므로 하강보다 상승이동이 더 많습니다

  • yonsei17 · 566397 · 16/06/06 12:20 · MS 2015

    3.폐쇄적이다,개방적이다라고 단정 지을 수 없는 것인가요?
    5.이동한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죠?.. 표 안이 텅텅 비었는데..ㅎ

  • 수노 · 665584 · 16/06/06 12:35 · MS 2016

    네 단정지을 수 없구요
    (인구를 모두 100명이라 치고 단위를 %가 아니라 명으로 할게여) B국에서 2000년 상층이 10명 중층이 30명 하층이 60명, 2010년 상층이 25명 중층이 50명 하층이 25명 입니다. 상승이동>하강이동을 알아내야하는데... 극단적으로 생각해서 가장 하강이동을 많이 하게 되는 경우를 생각해본다면 모든 상층이 중~하층으로 모든 중층이 하층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2000년 모든 중층은 30명인데 2010년 모든 하층은 25명이니까 중층의 25명이 하강이동 5명이 중층에 그대로 머무릅니다. 2000년 모든 상층인 10명이 2010년 중층으로 하강이동 한다고 했을때 총 35명이 하강이동했죠? 5명(아까 말한 그 머무른 중층)은 그대로, 나머지 60명이 상승이동하게 됩니다. 하강이동의 최댓값을 구했을때 35명뿐인데 60명이나 상승이동 했으니 하강이동보다 상승이동이 더 많다고 할 수 있고요.. 이렇게 어느정도 계산이 필요한 문제인데 표가 깨끗(..)하기 때문에 처음엔 많이 어려울 수 있어요..

  • 수노 · 665584 · 16/06/06 12:36 · MS 2016

    맨 위 댓글을 그대로 풀어쓴거에 불과한 댓글이라.. 헷갈리거나 모르는 부분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면 그 부분 댓글 달아드릴게요 ㅎㅎ